자율주행 (4) 썸네일형 리스트형 미국 스팩주 합병: REE AUTO, PLUS AI (카누와 유사한 스케이트보드 업체 리오토(VCVC 확정), 상업용 자율주행 시스템을 올해 출시할 플러스에이아이(QELL, CCAC 가능성)) 안녕하세요. 내일의 그래프입니다. 오늘은 지난번 카누에 이어서, 또 하나의 전기차 스케이트보드 회사인 리오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중국의 전기차 리오토와 발음이 같은데, 이번 회사는 이스라엘 회사입니다. 이 회사는 이미 VCVC 스팩과 합병을 추진한다는 DA를 발표하였습니다. 그리고, 벌써 사업이 많이 진전된 상업용차량 자율주행 시스템 업체인 플러스에이아이도 간략히 살펴보겠습니다. 이 회사는 QELL과 CCAC 스팩과 합병 소문이 있습니다. 리오토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리오토는 전기차 스케이트보드를 만드는 회사입니다. 유사한 회사로 카누를 들 수 있겠습니다. 굉장히 특이한 점은 리오토의 스케이트보드는 굉장히 심플한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이 회사의 핵심 기술은 바로 바퀴 부분에 집중되어 있는 리코너.. 미국주식: 자율주행 - 테슬라 VS 웨이모 (누가 주도권을 잡을까?) 오늘은 테슬라의 자율주행시스템과 웨이모의 자율주행시스템을 비교해보려고 합니다. 각사가 추구하는 자율주행시스템을 이해하고, 차이점을 알아보고, 최대한 객관적인 입장에서 양 시스템의 장단점을 비교해보겠습니다. 자율주행의 단계에는 총 6단계가 있습니다. 자율주행 기술이 없는 0단계부터 인간의 개입이 전혀 필요하지 않은 5단계까지입니다. 좌측과 우측의 가장 큰 차이는 바로,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한지 여부입니다. 0단계부터 2단계까지는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합니다. 2단계에서 차가 어느 정도는 알아서 운전하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운전자는 언제든 개입할 준비를 하고 있어야 합니다. 사고 책임이 운전자에게 있습니다. 반면, 3단계는부터는 기본적으로는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다만, 필요할 때는 개입해야 합니.. 미국주식: 벨로다인(VELODYNE) - 누가 라이다 업계 리더로 등극할 것인가? (루미나와 비교) 안녕하세요. 내일의 그래프입니다. 오늘은 라이다 시장의 리더라고 알려져 있는 벨로다인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어제 살펴본 루미나와도 이곳저곳에서 비교를 해보려고 합니다. 벨로다인은 스팩인 그래프 인더스트리얼과 합병하여 미국 증시에 상장을 할 예정입니다. 우선 개요를 보시면, 합병이 3분기 중에 마무리를 할 것이라고 되어 있어서, 9월 중에는 마무리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우측 상자는 루미나인데, 루미나의 경우는 2020년 4분기이기 때문에 시간이 조금 더 걸린다고 하겠습니다. 벨로다인의 예상 합병 가치는 16억 달러 정도입니다. 멀티플도 2024년 매출인 6.8억 달러의 2.3배여서, 생각보다 가치를 높게 가져가지 않음을 볼 수가 있습니다. 루미나는 29억 달러를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약 2.. 미국주식: 루미나(LUMINAR) 루미나의 라이다 경쟁력은 무엇일까? (고어스와 합병 후 상장 예정) 안녕하세요. 내일의 그래프입니다. 오늘은 최근 고어스라는 스팩과의 합병을 통해 미국 증시 상장을 준비하고 있는 루미나라는 라이다 회사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라이다는 레이저를 발사하고 그 빛이 주위의 대상 물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계산하여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주변의 모습을 그려내는 장치입니다. 라이다는 Light Detection And Ranging의 약자입니다. 전통적인 레이다와 원리는 같지만, 레이다의 전파 대신에 빛을 쓰는게 다른 점이라고 하겠습니다. 기존에 사용되는 라이더는 위와 같이 원통형 라이더가 많은데, 루미나에서 개발중인 아이리스 라이더는 차량이 외관을 해치지 않는 모양입니다. 루미나라는 회사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발표자료를 이렇게 만들어서 회사에 대해서 매우 알아.. 이전 1 다음